■   일본/이마까라 니홍고

이마까라 니홍고 청자 질문 10: なになに~します와 ~するんです의 차이점은 단순히 구어체와 문어체의 차이 인가요?

죽지 않는 돌고래 2025. 5. 21. 02:17

 9997772님 질문 

なになに~します와  ~するんです의 차이점은 단순히 구어체와 문어체의 차이 인가요?

죽돌 답변 

아닙니다! 뉘앙스에 차이가 있습니다. 

1.

~します ; ~합니다. 

우리가 배운 바대로 "정중” 丁寧(ていねい)한 표현입니다! 즉, する[하다]에 ます[...ㅂ니다]가 붙어 します[합니다]가 된 것이죠. 그 외에 특별히 무슨 어감을 나타내는 뉘앙스는 없습니다.  

2. 

~するんです ;  ~하는 것입니다. 

상대방에게 무언가 “강조”할 때의 표현으로 “것” 이 들어가 있습니다. “것”은 우리가 배웠다시피 の에 해당하고 구어체에서 ん으로 바뀐 것이지요. “것”으로 대변되는 “강조”안에는 다양한 뉘앙스가 들어갈 수 있는데 무언가를 설명할 수도, 변명할 수도, 화낼 수도, 바랄 수도 있겠지요. 어쩌면 설명이 더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3.

즉, 9997772 님의 질문을 좀 더 명확히 하면 

…ます[...ㅂ니다]와 [연체형]+んです[...할/하는/한 것입니다]의 차이일 터인데요. 

예를 들어 

今晩(こんばん)、彼(かれ)と食事(しょくじ)します vs 今晩(こんばん)、彼(かれ)と食事(しょくじ)するんです

라고 친구에게 말한다 치면 이 문장만 놓고 봤을 때 

1) 今晩、彼と食事します[오늘 밤, 그와 식사합니다]는 그냥 그날밤에 그와 식사를 한다는 사실 혹은 정보를 전할 뿐이죠. 헌데, 

2)今晩、彼と食事するんです[오늘 밤, 그와 식사할/하는 겁니다]는 ん(구어표현, 원래는 の)가 껴 있기 때문에 문맥에 따라 다양한 뉘앙스를 나타내게 됩니다. 

관심이 있던 남자에 대해 친구와 이야기하다, 이 말이 툭 나오면 그 친구들에게 빅뉴스! 를 알려 주는 뉘앙스가 되죠. 그래서 이야기를 들은 친구들이 “오오오!!!” 하고 환호할 수도 있고 싫어하던 회사 부장인 마사오 이야기가 나오다 이 말이 나오면 “우엑~ 최악이다! 힘내!” 라는 반응이 올 수도 있겠습니다. 

좋아하는 연예인 이야기가 나오다 이 말이 나오면 “에에에에~ 거짓말!!”, “진짜?!!” 라고 할 수도 있구요. 

4. 

이해를 돕기 위해 또 하나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これは友だちがくれました vs これは友だちがくれたんです

1) これは友だちがくれました[이것은 친구가 줬습니다]는 くれる[주다]에 ます가 붙고 거기에다 과거의 조동사 た가 붙은 표현입니다. 번역하면 “주었습니다”가 되는데 역시나 그냥 친구가 줬다고 사실 혹은 정보를 전하고 있을 뿐입니다. 

2) 한편 くれたんです는 くれた[준/줬던] 뒤에 ん가 붙어 있고 문맥에 따라 다양한 뉘앙스를 나타냅니다. 길거리를 걷다 경찰한테 불심검문을 받는 상황이라고 치죠. 그때 수상한 물건이 나왔다면 “아니, 어건 친구가 준 거예요”라고 “변명”하는 뉘앙스가 될 수도 있고, 아니면 친구가 준 선물을 다른 친구한테 보여 주면서 자랑할 때에도 “くれたんです[준 거예요]”를 효과적으로 쓸 수 있죠! 

 

5. 

예를 들기 시작하면 끝이 없으니 이번에는 이 정도로 하구요. 중요한 점은 이런 식으로 [연체형]+んです는 다양한 뉘앙스를 동반시켜 상대방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9997772 님이 일본에 가셔서 가만히 대화를 듣다보면 사람들 사이에서 오가는 표현 중 ~んです가 생각보다 자주 등장하는 것을 알게 될 겁니다. 왜냐! 일상생활에서 주고 받는 거의 모든 말에는  문맥에 알맞은 어감도 같이 오고가기 때문이죠. 

그래서 일본 드라마나 영화에 나오는 “살아있는 대화”를 듣다 …んです를 마주치면 그때그때 맥락을 전제로 어떤 뉘앙스인지(고백, 해명, 경악, 의지 등등!)를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은 공부가 될 겁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